Perioral dermatitis - 입주변 피부염https://en.wikipedia.org/wiki/Perioral_dermatitis
입주변 피부염 (Perioral dermatitis)은 얼굴에 흔히 나타나는 피부 발진입니다. 증상에는 여러 개의 작은(1~2 mm) 돌기와 물집이 포함되며, 때로는 배경이 붉어지고 인설이 생기기도 합니다. 병변은 입과 콧구멍 주변의 피부에 국한됩니다. 이 질환은 지속되거나 재발될 수 있으며, 특히 여드름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유사한 양상을 보입니다.

국소 스테로이드가 증상의 원인일 수 있고, 보습제 및 화장품도 피부 질환 발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국소 스테로이드와 화장품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며, 더 심한 경우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을 경구 복용합니다. 스테로이드를 중단하면 초기에는 발진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선진국에서 매년 0.5~1 %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환자 중 최대 90 %는 16세에서 45세 사이의 여성입니다.

치료 ― OTC 의약품
입주변 피부염은 화장품에 의한 만성 접촉성 피부염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입 주위에 화장품을 바르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OTC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종종 몇 달에 걸쳐 치료가 필요합니다.
#OTC antihistamine
☆ AI Dermatology — Free Service
2022년 독일의 Stiftung Warentest 결과에 따르면 ModelDerm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는 유료 원격진료 상담보다 약간 낮았습니다.
  • 입 주위와 콧구멍 주위에 약간의 발적을 동반한 구진이 나타나며, 이 구진이 입 주위에 반점이나 농포 형태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References Perioral Dermatitis 30247843 
    NIH
    Perioral dermatitis은 젊은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양성 피부 질환으로, 입 주위에 작은 붉은 돌기나 건조하고 비늘 모양의 피부 반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입 주변에 발생하지만 눈과 코 근처에도 나타날 수 있어 ‘눈주위 피부염’이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얼굴에 국소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이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보통 이러한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단하는 것입니다. 다른 치료 옵션으로는 국소 metronidazole(메트로니다졸)이나 calcineurin inhibitor(칼시뉴린 억제제)를 바르거나, 경구용 tetracycline(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눈주위 피부염은 일반적으로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때로는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할 수 있습니다.
    Perioral dermatitis is a benign eruption that occurs most commonly in young, female adults, consisting of small inflammatory papules and pustules or pink, scaly patches around the mouth. Although the perioral region is the most common area of distribution, this disease also can affect the periocular and paranasal skin. For this reason, it is often referred to as periorificial dermatitis. Topical steroid use to the face can trigger this, and therefore, a primary recommendation for treatment would be discontinuation of steroid application by the patient. Other treatment approaches include topical metronidazole, topical calcineurin inhibitors, and oral tetracycline antibiotics. Perioral dermatitis often responds readily to therapy but can be chronic and recurrent.
     Allergic contact cheilitis caused by propolis: case report 35195191 
    NIH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식물에서 추출한 친유성 물질입니다. 본 증례보고의 목적은 알레르기성 접촉성 구순염의 원인으로서 이 물질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21세 여성 환자가 5년 동안 소양성 구강주위 습진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습니다. 지난 몇 달 동안은 목에도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접촉성 피부염 진단을 받은 후 패치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패치 테스트 결과 프로폴리스 (++)에 대해 강한 양성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Propolis is a lipophilic resin extracted from plants by bees.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show the importance of this substance as cause of allergic contact cheilitis. A 21-year-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of pruritic perioral eczema for 5 years. In the past months it also affected the neck. After diagnosing contact dermatitis, she was submitted to a patch test with a Latin American baseline series. The result was strongly positive for propolis (++)
     Predictive Mode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Inflammatory Papular Dermatoses of the Face 33911757 
    NIH
    홍반성 구진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염증성 피부 질환이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흔한 질환으로는 folliculitis와 rosacea가 있으며, 비교적 희귀한 질환으로는 eosinophilic pustular folliculitis (EPF), granulomatous periorificial dermatitis (GPD), lupus miliaris disseminatus faciei (LMDF) 등이 있습니다.
    Various inflammatory skin diseases characterized by erythematous papules that most often affect the face include clinically common folliculitis and rosacea, and relatively rare eosinophilic pustular folliculitis (EPF), granulomatous periorificial dermatitis (GPD), and lupus miliaris disseminatus faciei (LMDF).